울산 울주 온양 산불이 단비와 함께 완전히 진화되면서 본격적인 피해 규모 파악과 함께 화재 원인 조사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에 튄 불꽃이 대형 산불의 원인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차상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단비와 함께 완전히 꺼진 울산 울주 온양 산불. <br /> <br />낙엽으로 가득했던 땅은 잿더미로 변했고, 봄을 맞아 새잎을 틔우려던 나무들은 숯덩이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진화 작업은 마무리됐지만, 주민들은 불길이 퍼져가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면 놀란 가슴이 가라앉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규식 / 최초 발화지점 인근 주민 : 말도 못 해요. 그때 바람이 엄청 불었어요. 올라오니까 벌써 저 위까지 (불이) 다 올라가 버렸어요.] <br /> <br />불을 끄는 데 모든 행정력을 쏟다 보니 복구작업은 엄두를 내기 힘든 상황. <br /> <br />화재 원인 조사부터 먼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과 산림 당국은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농막을 중심으로 분석 자료 확보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용접 중에 튄 불꽃이 원인으로 꼽히는데, 농막 주인도 조사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최초 발화 지점으로 지목된 곳입니다. 이곳에서 시작한 불길은 강한 바람을 타고 대운산 방향으로 빠르게 번져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울주군은 온양읍보다 산불이 먼저 진화된 언양읍 지역에서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찰과 주택, 창고와 비닐하우스 등 9개 시설이 완전히 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온양읍은 피해 면적은 훨씬 넓지만, 산림만 탔을 뿐 민간 피해 신고는 아직 들어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울주군이 이번 산불의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서 피해 주민에게는 생활안정지원과 함께 지방세 납부 유예 등 간접지원도 이뤄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상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상은 (chas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32821371575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