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 의성 산불이 안동까지 걷잡을 수 없이 번진 주요 원인으로는 불이 나무 윗부분을 타고 일파만파 번지는 이른바 '수관화' 현상이 꼽히는데요, <br /> <br />YTN 취재 결과 두 지역 모두 수관화 현상에 매우 취약해 관리가 시급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부장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빨갛고 하얀 열기둥이 산등성이 곳곳에서 솟구쳐 올라옵니다. <br /> <br />마치 불 회오리를 연상케 하는 열기둥은 산에서 산으로 껑충껑충 건너뛰듯 번져나갑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산불이 빠르게 확산한 주요 원인인 이른바 '수관화'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수관화란 불이 잎과 가지가 무성한 나무 윗동을 타고 빠르게 번지는 걸 말하는데, 물을 뿌려 끄기 쉽지 않은 데다 잎과 가지가 타면서 불똥도 많이 만들어집니다. <br /> <br />강풍을 타고 불똥이 마치 '도깨비 불'처럼 번지는 비화 현상과 더불어 수관화 현상이 이번 역대급 산불 피해를 낳았습니다. <br /> <br />처음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안동까지 순식간에 확산했는데, YTN 취재진이 국립산림과학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, 안동과 의성 모두 수관화 현상에 취약한 상태였던 거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자료는 산불 예방을 위해 숲이 지나치게 울창해지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구분해놨는데, 안동의 경우 거의 도시 전체가 우선 관리 대상에 속했고, 의성 역시 관리 대상 지역이 적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가지치기나 솎아베기 등을 통해 숲의 밀도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다면, 수관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을 거라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박재성 /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우리나라 산림이 굉장히 울창해져 있습니다. 계속적으로 육성도 많이 하고 이러다 보니까 산림의 밀도가 굉장히 높고요.] <br /> <br />또, 계절과 관계없이 잎이 무성해 수관화 현상을 유발하기 쉬운 소나무 비중이 너무 높은 만큼 활엽수림으로 수종 변화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부장원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최연호 <br /> <br />디자인 : 박지원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부장원 (boojw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2921103385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