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# <br /> <br /> <br />미국이 상호관세 발효를 전격 유예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한숨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오락가락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가 미·중 관세전쟁까지 격화하면서 불안감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반면 협상 카드로 거론된 조선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선박 구입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를 전격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습니다. <br /> <br />90일 동안 중국을 뺀 다른 나라에 기본관세 10%만 매기기로 하면서 우리나라 관세도 25%에서 10%로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상호관세와 별개로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 25%는 그대로 유지됩니다. <br /> <br />'수출 효자' 반도체도 사정권에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덕근 /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(지난 9일) : 반도체나 목재, 구리 이런 것들이, 남아 있는 제약 이런 데도 마찬가지 25%가 예외 없이 부과되는 게 아닌가 하는….] <br /> <br />무엇보다 기업들을 힘들게 하는 건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'불확실성'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어느 장단에 맞춰 경영 전략을 짜야 할지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장군 멍군하며 미·중 관세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것도 큰 불안 요소입니다. <br /> <br />[장상식 /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: 한국은 미국, 중국이 최대 수출국인데요. 미·중 간 갈등은 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경기를 둔화시켜 수출 수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. 중국 제품의 미국 진출이 막히면서 제3국 시장에서 한·중 간 경합이 높아지는….] <br /> <br />일단 90일의 시간을 번 만큼 정부의 협상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조선, 에너지 분야 협력과 비관세 장벽 개선 등을 협상 카드로 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맞서 해양 패권 회복을 선언하면서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은 '존스법'에 따라 자국에서 건조된 선박만 운항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, 만약 트럼프 정부가 이를 개정한다면 한국 조선업에는 대규모 수주 기회가 열리게 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6월 조기 대선으로 리더십 공백이 해소된 상태에서 새 정부가 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아영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41314284802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