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박석원 앵커, 엄지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희준 YTN 해설위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퀘어 10AM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이 일본과 가장 먼저 관세 협상을 진행했는데,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개입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측은 일본에 방위비 증액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다음 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협상에서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관련해서 김희준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 <br />미국과 일본이 관세 협상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끼어들었다는 말이 나왔거든요. 왜 이런 말이 나온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과 일본의 관세협상에 이례적으로 미국 대통령이 난입했다는 표현을 썼는데 이건 일본 언론의 표현입니다. 미국과 일본의 관세와 경제 담당 수장들이 워싱턴에서 마주 앉았는데요. 트럼프 대통령이 이 협상에 직접 참석하겠다고 밝힌 겁니다. 그것도 일본 대표단이 워싱턴으로 오는 비행기에 있었던 시각이라고 매우 당황했다는 후문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본협상에 직접 참석은 안 했고요. 회담에서 앞서 일본측 대표 이카자와 경제재생상을 50분에 걸쳐서 만났습니다. 미국과 일본의 본 협상이 75분 동안 진행됐으니 매우 긴 시간을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 협상한 셈입니다. 그런 뒤 본협상이 열리기 전에 SNS에 일본과 만나 큰 진전을 이뤘다는 표현까지 올렸는데요. 미국으로선 무역적자폭이 큰 핵심 동맹국인 일본을 대상으로, 또 일본은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입니다, 미국의 국채를. 이런 일본을 대상으로 협상해서 큰 진전을 미리 거두겠다는 포석으로 읽혀집니다. <br />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정말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일단 미국과 일본의 협상에서 눈에 띄는 성과는 없었던 것 같고요.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랑 방위비를 연계하겠다, 이런 뜻을 나타내면서 일본 입장도 난감해진 것 같아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확하게 표현하셨습니다. 이번 1차 협상은 양측이 서로의 요구를 탐색해 보는 탐색전 성격이었다고 얘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. 일본 측은 철강과 자동차에 대한 관세와 고율 상호 관세에 유감을 나타냈고, 미국은 자국산 자동차의 판매 확대, 무역 적자 해소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 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41810555944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