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SKT 유심 해킹’ 사태 불안감 금융권으로 확산 <br />은행권, SKT 고객 본인 인증 때 ’안면인증’ 추가 <br />은행권, SKT 고객 대상 이상 징후 모니터링 강화 <br />IT 전문가 "2차 피해 막기 위해선 유심 교체 필요"<br /><br /> <br />SKT의 유심 해킹에 대한 불안감이 금융권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은 복수의 인증 체계를 갖추고는 있지만 혹시 모를 복제폰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안면인증 추가 등 인증 절차 강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유심 교체를 권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보험과 여신업계가 SKT의 휴대전화 본인 인증을 차단한데 이어 은행권도 SKT 고객의 본인 인증 절차를 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은 복수의 인증 체계를 갖추고 있어 복제폰이 만들어져도 금융거래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혹시 모를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SKT 고객이 비대면 계좌를 개설할 때, 인증 절차에 안면인증을 추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KB국민은행 관계자 : 저희는 일단 대외기관 하고 사고 대응이나 공조를 강화하고, 추가적으로 저희는 SKT 고객에 한해서 인증서 발급시에 얼굴 인증 프로세스를 이제 거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 절차도 진행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은행권은 또 SKT 고객을 대상으로 이상 거래 징후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 휴대전화 기기변경을 했거나, SKT 고객인 경우 이상 거래가 의심될 때 계좌 지급정지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은행권의 노력에도 복제폰으로 인한 2차 피해를 근원적으로 막기 위해선 유심 교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신재우 / 한신대 IT 경영학과 교수 : 지금 당장 유심칩을 교체해야 하는 이유는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의 금융사기 피해를 막기 위함인데, 시간이 자꾸 늦어지게 될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탈취해간 해커들이 이 정보를 이용해서 2차적으로 금융사를 통한 대출·사기 등의 금융범죄를 저지를 수 있고….] <br /> <br />일부 SKT 고객들은 다른 휴대전화 기기에서 본인 인증을 시도한 사례가 확인됐다며 관련 사진을 SNS에 올리고 있어 SKT 고객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류환홍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류환홍 (rhyuh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43005192273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