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민의힘 대선 주자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됐지만,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맞대결을 펼칠 범보수 진영의 '단일 후보'인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한덕수 전 총리 등 당 밖 인사들과의 단일화 문턱을 한 번 더 넘어야 할 거란 관측인데, <br /> <br />앞서 대선판을 흔들었던 단일화의 역사, 손효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결정적 승기를 쥐었던 단일화의 대표 성공 사례는 지난 1997년 15대 대선 당시의 DJP 연합입니다. <br /> <br />김대중과 김종필, '호남'과 '충청'을 대표하는 두 정치인이 손잡으며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를 1.53%p 차로 꺾었습니다. <br /> <br />협상은 1년 넘게 이어졌지만, 단일화는 별도 경선 없이 두 총재의 '담판'으로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DJ는 단일 후보가 되고, JP는 공동정권의 국무총리와 조각권을 보장받으며 성사된 연정이 헌정 사상 첫 정권교체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중 / 전직 대통령 (1997년 당선 당시) : 건국 이래 처음으로 여야 정권 교체가 이뤄졌습니다.] <br /> <br />'반이재명 빅텐트론'을 띄운 국민의힘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사례는 2002년 16대 대선의 노무현-정몽준 단일화입니다. <br /> <br />진보와 보수 진영의 연대로, 이길 가능성이 적은 선수, 이른바 '언더독' 노무현 후보가 1강이었던 이회창 후보를 누르는 이변이 연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율이 우세한 지금의 대선 구도와 유사하단 평가인데, 단일화 방식 역시 참고할 만합니다. <br /> <br />'톱-다운' 담판이었던 DJP 연합과 달리, 후보 양측이 대표단을 꾸려 협상에 나섰고, 국민 참여경선을 도입해 당원투표 50%,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%로 경선을 치렀습니다. <br /> <br />[노무현 / 당시 대통령 후보(2002년 단일화 타결 당시) : 우리도 최선을 다하겠지만 이미 우리 운명은 우리 손을 떠나서 국민들 손으로 넘어갔습니다.] <br /> <br />선거 전날 정몽준 후보가 지지를 철회했지만, 오히려 지지층이 결집했고, 단일화는 노무현 후보의 당선을 견인한 승부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0.73%p 차이 신승', 직전 20대 대선에서도 윤석열-안철수 단일화가 중대 분수령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'룰'을 둘러싼 신경전이 있었지만 결국 안철수 후보가 전격 사퇴했고, 이재명-심상정 후보로 갈라진 진보진영을 상대로 윤석열 당시 후보가 승리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안철수 / 당시 국민의당 대선 후보(2022년) : 저 안철수는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[윤석열 / 당... (중략)<br /><br />YTN 손효정 (sonhj07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5040456444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