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대선에선 '실버 표심'도 주목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고령화 사회에 본격 진입하면서, 60대 이상 유권자가 청년보다 많아진 첫 대선이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유권자 분포가 어떻게 달라졌고 변수는 무엇인지, 강진원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공직선거법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18세 이상 국민은 누구나, 원칙적으로, 투표할 권리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생·고령화 문제가 우리 사회 심각한 화두가 된 지금, 선거에도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60대 이상 인구수가 청년 세대, 즉 18세∼39세까지 인구수를 앞지른 겁니다. <br /> <br />자세히 살펴볼까요? <br /> <br />60대 이상 국민은 1,47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, <br /> <br />전체 유권자의 33.1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18~39세까지 유권자 수는 1,336만 6천여 명, 30.2%입니다. <br /> <br />청년층보다 어르신이 133만 명 정도 많은 걸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령층은 보수 성향이, 청년층은 진보 색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'정치권 통념'을 고려할 때, 이런 세대 구조의 변화가 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전 포인트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번 대선의 '큰 손'은 누굴까요, 바로 50대입니다. <br /> <br />50대는 870만 명에 육박하는데,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의 50대는 민주화를 경험한 세대지만, 동시에 보수화되는 경향도 나타나기 때문에 선거 때마다 '스윙 보터' 꼬리표가 붙는데요. <br /> <br />이른바 '86세대'로 불리는 50대의 선택, 이번 대선 승부를 좌우할 핵심 요소 가운데 하나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변수는 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총선 당시 투표율인데요. <br /> <br />40대가 60%, 50대가 70%를 살짝 넘었는데, 60대 이상 투표율은 무려 80%를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유권자 수도 많은데, 투표 열기까지 뜨거운 겁니다. <br /> <br />후보들이 어르신 표심을 잡는 것에 특히 공을 들이는 이유기도 하겠죠. <br /> <br />지금 이 통계도 살펴볼 만합니다. <br /> <br />거주지를 옮긴 사람, 즉 전국 인구 이동 수는 매년 최저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, 고령화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진학이나 취업, 결혼 등 이동 요소가 많은 청년층의 수가 줄면서, 우하향 곡선을 그린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선거에 대입해서 거칠게 말하면, 영호남으로 대표되는 보수와 진보 표심에 변화가 생기기 더 어려운 환경이 됐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60대 이상 유권자가 청년보다 많아진 첫 번째 대선, 세대별 표심과 투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진원 (leejh092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60306173820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