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우원식 / 국회의장] <br />돌아보면 역시 가장 큰 일은 12.3 비상계엄 사태에 맞서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이었던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정말 많은 곡절과 난관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저도 밤잠을 못 자는 날이 여러 날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위기를 극복하는 힘은 역시 우리 국민들에게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이 정국을 이끌어왔고 그런 속에서 국회와 국회의장은 크게 두 가지 과제에 힘을 쏟았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은 벌어지는 일들 속에서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길을 찾아나가는 것이었습니다. 비상계엄은 국회가 신속하게 158분 만에 해제시켰습니다마는 그 이후에 이전의 경험이나 확립된 관례가 없는 일이 계속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적이고 물리적인 국회 침탈이나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 미임명에 대한 대응,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 같은 사안 하나하나가 모두 새롭게 길을 찾아야 하는 일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상계엄 국정조사와 국회 침탈 행위자에 대한 법적 조치, 헌법재판관 임명 부작의 권한쟁의심판청구, 본회의 의사진행 등 사안마다 국민의 뜻, 헌법과 법률, 각계의 의견을 폭넓게 검토하고 판단하면서 대처해 왔는데 돌아보면 헌법수호기관으로서 국회의 적극적이고도 정당한 역할을 국민께 보여드리고 또 인정받는 과정이 아니었나 싶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 축이 대외 신인도 회복의 국정안정입니다. <br /> <br />계엄사태 초반부터 집중적으로 노력한 것이 국회의장 외교입니다. <br /> <br />비상계엄 해제 직후 주요국 대사들과 소통하고 세계 각국 의회 지도자들에게 친서를 보내는 것으로 시작을 해서 주요국에 초당적 특별방문단을 파견했고, 의장이 국회에서 외교사절을 만나는 접견외교를 대폭 늘렸습니다. <br /> <br />필요한 때는 제가 직접 순방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상계엄 이후 의장이 직접 만나 우리의 민주주의 회복력과 국내 상황을 설명하고 안심과 지지를 당부한 인사가 72개국 101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이 세계 질서 급변기에 벌어졌기 때문에 정부 외교 공백을 최소화하고 국제사회가 불필요한 우려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게 외교 또 경제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을 해서 공을 많이 들였습니다. <br /> <br />제가 한 주는 국회의장 외교 슈퍼위크 이렇게 정할 정도로 거의 매일 대사들 또 외국 방문 주요 정치인들, 그런 만나는 일정들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러 계기에 상대국 반응을 들어보면 노력한 보람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5061110381777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