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이란의 주요 핵 시설을 공격하면서 관심은 북한으로도 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2년 전 1차 북핵 위기 때 미국은 북한의 영변 핵 시설을 정밀타격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취소했었는데요. 북한은 이란과 상황이 달라 핵 시설 공격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한미연합연습 재개에 반발해 1993년 3월 핵확산금지조약, NPT를 탈퇴하며 1차 북핵 위기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영변 일대의 북핵 시설을 정밀타격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한반도 전쟁위기론이 확산된 겁니다. <br /> <br />당시 클린턴 대통령은 그러나 폭격 직전 취소했는데, 우리 정부의 반대와 북한의 반격 등으로 100만 명 이상이 희생될 것이란 보고 등을 받고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이후 협상을 통해 핵 문제를 풀어 왔지만, 이번에 이란을 직접 공격하고 나서면서 북핵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 공격을 북핵 협상의 지렛대로 삼을 거란 지적이 나오는데, 이란과 북한은 지리-전략적으로 다르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이란은 아직 핵탄두를 갖지 못한 반면, 북한은 50개 안팎을 보유했고, 각종 미사일 등 운반수단까지 갖춘 사실상의 핵보유국이란 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란 핵 시설 만을 겨냥한 핀셋 타격처럼 북핵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을 하더라도 이란과 달리 전면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은 점도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우군이 없는 이란과 달리 북한은 중국- 러시아와 혈맹관계를 맺고 있고, 무엇보다 우리 정부가 동의할 가능성도 거의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호령 /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센터 책임연구위원 :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그런 거거든요. 그런 점을 고려해 본다면 이란에 썼던 군사적 옵션을 사용할 가능성은 그렇게 높아 보이지는 않다 라고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의 이번 공격을 보며 북한이 협상 대신 핵무기 개발에 확신을 가질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보낸 친서도 거부했는데, 이번 이란 핵 시설 폭격을 계기로 북핵 문제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문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62218555963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