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과 이란이 휴전에 들어가면서 뉴욕 유가는 이틀 연속 급락했고,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글로벌 경기 상승 기대감에 1% 넘게 동반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중동 전쟁 여파가 미칠 영향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금리 인하에 신중론을 고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 이승윤 특파원, 뉴욕 유가가 이틀 연속 급락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중동 전쟁 휴전 이후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장 대비 6.04% 급락한 배럴당 64.37달러에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시장 비교 대상인 브렌트유 8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6.07% 내린 67.14달러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휴전을 계기로 이란에 대한 원유 수출 제재를 완화할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유가 하락 압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경기 상승 기대감에 뉴욕 증시 3대 지수 모두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1.19%, 대형주 중심의 S&P 500 지수는 1.11%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는 1.43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.4% 정도 오른 10만 5천 달러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안전 자산인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1.87% 내린 온스당 3,330달러 선에서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안전 자산인 달러 가치도 내려가면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97.88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 제롬 파월 의장은 신뢰를 강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파월 의장은 미 연방 하원 재무위원회의 반기 통화 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 연준의 물가 안정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번 잃은 신뢰는 회복하는 데 매우 큰 비용이 든다며 물가 안정에 대한 신뢰는 힘들게 얻은 것이고 끊임없이 지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연준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할 때, 정치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는다"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오락가락하는 관세율을 제시하고, 금리를 1%p 올리라고 압박했다가 갑자기 2%p를 올리라고 주장하는 등 자주 말을 바꾸는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와는 극명한 대조를 보이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는 오늘도 "파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62506095145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