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4월 우리 경제는 미국 관세 정책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생산, 소비, 투자가 모두 뒷걸음질치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는데요, 뒤이은 5월에도 부진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1차 추경에도 산업 생산이 두 달째 감소했고, 소비도 반등을 못 했습니다. 이승은 기자! <br /> <br />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산업활동동향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전산업 생산은 미국 관세정책 영향 등으로 두 달째 뒷걸음질 쳤습니다. <br /> <br />소매판매는 석 달째 반등하지 못했고, 설비투자도 석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'에 따르면 전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1.1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1월 -1.6% 이후 넉 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겁니다. <br /> <br />의약품과 반도체 조정 등으로 광공업이 부진한 영향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는 미국 관세정책과 미국 공장 가동 영향으로 두 달째 생산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소매판매는 의복 등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화장품 등 비내구재 등에서 줄면서 전달과 같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과 4월 내리 감소한 데 이어 1차 '필수 추경'이 집행된 지난달에도 제자리걸음 하면서 석 달째 반등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설비투자는 지난 2월 크게 증가한 뒤 조정 흐름에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이 줄면서 4.7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석 달째 감소입니다. <br /> <br />공사 진척도를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3.9% 줄어 역시 석 달째 마이너스였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동반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획재정부는 지난 달 1일 국회를 통과한 1차 추경 집행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의 경우 소비심리 개선, 수출 흐름 등이 긍정적이라며 추경 집행과 통상 위험 대응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63010475001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