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, 또 일부 품목에 쏠린 우리나라 무역 집중도가 제조업 강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수출로 먹고 살 수밖에 없는 한국, CPTPP 가입 같은 과감한 무역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국책연구원의 제언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제품을 수입하는 나라는 중국으로 비중이 22%가 넘습니다. (2024년, 22.1%) <br /> <br />중간재, 자본재, 소비재 등 제조업 상품 전반을 수입합니다. <br /> <br />수출로 보면 중국과 미국이 40%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대미 수출 비중은 지난해 중국과 비슷한 19% 수준입니다. (중국 19.5% 미국 18.7%) <br /> <br />특히 대미 수출은 자동차와 그 부품, 반도체와 전자기기, 생활가전과 기계류 등 주로 세 품목에 쏠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12년 전에 비하면 지난해 대중국 수입 비중은 6.6%p, 대미 수출 비중은 8%p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우리나라는 중국과 독일 등 다른 제조업 강국과 비교해 수출국 집중도, 수입국 집중도와 수출 품목 집중도가 가장 높았다고 한국개발연구원, KDI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된 데는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미국의 제조업 유치, FTA 등 정책적인 면 외에 미중 무역 갈등도 원인이라고 KDI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산 제품은 중국산과는 대체체, 미국산과는 보완재 성격이 강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중국산에 관세를 올리면 한국산이 더 잘 팔리고, 중국이 미국산에 관세를 올리면 한국의 대중 수출이 감소합니다. <br /> <br />무역 집중 현상은 경제 안정성을 해칩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공급망 장악은 국내 제조업의 생산과 고용을 위축시키고, 대미 수출 흑자 역시 미국 정부 경제적 통치의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KDI는 이에 따라 무역 다변화 정책이 중요하다며 특히 포괄적·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, CPTPP 가입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CPTPP는 일본 등 12개 회원국 간 높은 수준의 개방을 표방하고 있는 데다 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많아 무역 의존도 완화와 공급망 안정화에 효과적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정성훈/한국개발연구원 KDI 선임연구위원 : 농산품을 개방해야 된다는 그런 강한 요구가 있기 때문에 잘 안 됐던 것들이 있고, 그다음에 일본과의 갈등 문제가 또 있습니다. 지금 정부가 새롭게 들어서면서 일본과 대화가 잘되어 가고 있는 것 같고요. 농민들도 좀 예전과는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70605204353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