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무역전쟁에 새로운 전선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러시아가 이끄는 비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(BRCIS)가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자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적 징벌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7일(현지시간)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릭스의 반미정책에 동조하는 나라는 누구라도 10% 추가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보복 위협은 6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공동성명에 대한 반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브릭스 회원국들은 성명을 통해 "무차별적 관세 부과", "평화적 핵 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" 등을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름이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통상정책과 외교안보 정책을 종합적으로 비난한 것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화상 연결로 회의에 참석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"브릭스 회원국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"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푸틴 대통령은 글로벌 통상과 경제협력의 기반인 달러의 패권을 무너뜨려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"앞으로는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 시장들이 교역에서 각자 자국 통화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"며 지난해 러시아와 브릭스 회원국 사이의 무역에서 자국 통화의 결제 비율이 90%에 달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분위기는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의 질서에 맞서는 대항마로서 브릭스의 색채를 노골화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브릭스는 글로벌 경제와 안보에 지배적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달러 패권에 맞설 대안을 꾸준히 물색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 골자는 회원국 간 무역에서는 달러가 아닌 각국의 통화를 활용하는 방안, 특히 미국의 전략적 경쟁국인 중국의 위안화를 국제화하는 방안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브릭스가 당장 서방의 세계 질서를 뒤집을 만한 세력을 확보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회원국끼리도 다양한 분야에서 의견 차이가 작지 않고, 서방이 주도하고 있는 금융·경제 시스템의 규모와 비교하면 아직 브릭스의 경제 규모가 미미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한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도전할 의지와 잠재력을 내비치는 브릭스를 꾸준히 견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재선 직후 브릭스 회원국들이 달러화 대안을 구상하고, 나아가 자체 통화를 도입하는 방안까지 논의하자 '100% 관세' 부과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70814195145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