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배달앱들의 출혈 경쟁이 격화하면서 배달료는 물론 식음료 값까지 무료인 경우도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작 누구도 웃는 사람 없는 '공짜의 비극'을 낳고 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어찌 된 일인지, 베이징에서 강정규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벽면을 가득 채운 주문표가 바닥까지 수북이 쌓였습니다. <br /> <br />가게 앞엔 장사진이 펼쳐졌고, 배달 오토바이엔 포장 음료들이 주렁주렁 매달립니다. <br /> <br />[밀크티 매장 직원 : 네, 엄청 바빠요! 토요일엔 새벽 2시에 퇴근했습니다. 주문이 1,077번까지 들어왔거든요.] <br /> <br />노란색 메이퇀과 파란색 어러머가 양분하던 배달앱 시장에 빨간색 징둥이 뛰어들면서 벌어진 일입니다. <br /> <br />고객 유치 미끼로 뿌려진 할인쿠폰에 배달비는 물론 식음료 값 공짜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5일 하루에만 3색 배달 앱 전체 주문량이 2억5천만 건을 돌파할 정돕니다. <br /> <br />[중국 소비자 : 공짜로 밀크티 마셨어요. 한 푼도 안 쓰고 15잔 주문했습니다!] <br /> <br />하지만 주문이 폭주한 만큼 대기 시간은 하염없이 길어지고, 무료라서 취소나 포기도 쉽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게 찾아가는 사람 없는 공짜 주문 포장들은 그냥 버려집니다. <br /> <br />배달 앱에서 할인 비용을 떠넘기는 탓에 가게 주인들은 아무리 많이 팔아도 남는 게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자영업자1 : 우리가 할인비용의 7할을 부담하는데, 배달 앱은 3할만 냅니다. 우린 또 배송료에 배달 앱 수수료까지 줘야 하죠.] <br /> <br />[자영업자2 : 그러니까 배달 매출에선 우리가 버는 돈이 거의 없는 셈이에요.] <br /> <br />이대로라면 대형 배달 플랫폼 기업들도 1년에 18조 원에 이르는 손실을 볼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출혈을 메우려 품질이나 서비스가 나빠지고 오늘의 과잉 소비는 내일 소비자의 빚이 됩니다. <br /> <br />과거 중국인들이 집단농장에서 경험했던 '공유지의 비극'이 오늘날 시장경제체제에서도 되풀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72102255267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