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올해 수능의 가장 큰 변수는 이과생들이 사회탐구를 선택하는, 이른바 '사탐런'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어떤 선택과목을 택하느냐가 당락을 가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박영훈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울산의 한 고등학교 3학년 교실. <br /> <br />연일 이어지는 무더위 속에서도 교실에선 문제 풀이 수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[유나운 / 약사고등학교 3학년 : 개념 공부보다는 실전 감각을 익히는 데 조금 더 집중하고 있고요. 모의고사랑 기출문제 계속 풀어보면서 오답들 위주로 부족한 개념을 채우는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수능은 이과생이 선택과목으로 과학탐구가 아닌 사회탐구를 선택하는, 이른바 '사탐런' 현상이 변수가 될 걸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대학이 자연계열 학과의 과학탐구 필수 응시를 폐지하면서 상위권 이과생들이 비교적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로 몰린 겁니다. <br /> <br />응시 인원이 줄어든 과학탐구는 등급 확보가 불리해졌고, 상위권 이과생들이 몰린 사회탐구 역시도 점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탐구 과목 준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하수민 / 약사고등학교 3학년 : 매일 수학 문제는 꾸준히 풀고 있고요. 주에 몇 번씩은 탐구 과목을 공부하면서 개념 같은 걸 까먹지 않게 노력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이번 수능은 2천7년생 황금돼지띠가 고3 수험생으로 응시하며 역대 가장 많은 응시생을 기록할 걸로 예상되는 데다 의대 정원 축소로 상위권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할 걸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선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급하게 공부법이나 선택과목을 바꾸기보단 현재 자신의 성적을 파악하고 마무리 학습에 집중하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김령주 / 약사고등학교 3학년 부장교사 : 자신이 가고자 하는 대학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정확하게 인지를 하고 자신이 어떤 선택과목을 해서 공부를 할지 집중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특히 기출 문제를 통한 실전 감각 연습과 함께 다음 달 모의평가를 통해 시간 배분 감각을 익히고 자신에 맞는 수시 전략을 세우는 것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오는 11월 13일 치러지는 이번 수능의 원서 접수는 오는 21일부터 시작되고, 수시모집은 다음 달부터 시작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JCN 뉴스 박영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기자: 박민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영훈 jcn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80900072868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