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K팝이 겉으로는 화려해 보여도 과연 그 토대가 튼튼할까. 대한민국 핵심산업이 되려면 개인이나 기업의 노력에만 맡길 수 없다. 튼튼한 뿌리를 만드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.” <br /> <br />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방송된 아리랑 국제방송의 60분 특집 ‘K팝 더 넥스트 챕터’ (K-Pop:The Next Chapter)에 출연해 이같은 K팝의 미래와 문화예술 정책 방향을 직접 언급했다.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한 K팝이 더 나아가긴 위해선 공연장 인프라 확충과 문화예술 전반의 균형있는 성장, 그리고 정부의 통제없는 확실한 지원이 핵심이라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K-컬처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. 지난 18일에는 “평화가 경제 안정의 토대라면 K-컬처는 국력 신장의 새로운 동력”이라며 관련 시장 규모를 300조원까지 키우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. <br /> <br /> 그리고 그 중심엔 K팝 산업이 있다고 봤다. 방송에서 이 대통령은 “사람들은 괴롭고 슬플 때 음악으로 많이 위로받고 격려받는다. 어려운 상황에서 김민기 작사 작곡, 양희은 가창의 ‘상록수’를 많이 부르기도 했다. 연대하고 공감하고 즐거움을 느끼는 자기정화의 시간들이 사람마다 분명 필요하다. 문화예술이 그런 역할을 해주고 있다”고 부연했다. <br /> <br /> 동시에 “(K팝 저변 확대에) 책임감을 느낀다”며 입을 뗀 이 대통령은 일본과 비교해 부족한 우리나라의 대규모 공연시설에 아쉬움을 토로했다. 이어 “경기도지사 시절 일산아레나를 추진하려 했으나 무산됐다. 공연장 건립이 어렵다면 기존 시설을 변형해서라도 활용 방안을 고민하겠다”고 답했다. <br /> <br /> 순수예술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6042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