뉴욕 증시 내 대형주 중심의 S&P 500 지수에서 가장 비중이 큰 엔비디아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올리며 AI 거품론을 잠재웠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중 무역 전쟁의 한가운데 놓이면서 무역 협상과 규제가 앞으로의 성과에 중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인공지능 호조의 가늠자가 된 미국의 AI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, <br /> <br />올해 2분기 매출과 주당 순이익이 각각 467억 4천만 달러와 1.05달러를 기록하며 기대치를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엔디비아는 또 3분기 매출 전망치로 예상치인 534억 달러를 웃도는 540억 달러를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주 중심의 S&P 500 지수에서도 가장 비중이 큰 엔비디아는 최근 여러 차례 최고치를 경신한 나스닥과 S&P 지수의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가 "AI 기업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" 이라며 AI 산업에 거품이 끼었다고 지적하기도 했지만, <br /> <br />엔비디아는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으로 AI 거품론을 잠재웠고, AI 산업의 총아로 기술주 매수가 여전히 합리적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AI 반도체 수출과 관련해 미국과 중국 정부에서 동시에 받고 있는 정치적 압박은 중대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[젠슨 황 / 엔비디아 최고경영자: 세상은 재편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세계 무역, 세금, 관세 조건이 어떻게 되든 적응해야 하는 회사입니다.] <br /> <br />엔비디아는 미국 규제에 맞춰 중국에 저사양 AI 칩 H20을 팔았지만,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불허했다가 H20 매출의 15%를 받는 조건으로 허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엔 중국이 보안 우려가 있다며 중국 기업들에 H20 칩 사용 제한 지침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 대한 H20 출하와 중국 데이터센터 매출은 전망치에서 제외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중 무역 전쟁의 한복판에 놓인 엔비디아의 향후 성과는 관세 협상과 미국의 AI 반도체 무역 규제, 중국의 반도체 자립화 정책의 향방에 크게 좌우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 : 최고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82809092393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