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 정상회담 당일, 특사단 중국 부주석 만나 <br />시진핑 주석, 특사단 대신 러시아 하원의장 접견 <br />역대 5차례 특사 가운데 중국 정상 못 만난 첫 사례<br /><br /> <br />승전 80주년 열병식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초청한 중국 시진핑 주석, 앞서 방중한 이재명 대통령의 특사단은 만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5차례 베이징에 보낸 특사 가운데 중국 정상을 만나지 못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됐는데, 이유는 뭘까요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정규 특파원이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워싱턴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 날, 베이징에선 대통령 특사단이 중국 부주석을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은 같은 시간, 같은 장소에서 특사단 대신 러시아 하원의장을 접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사단을 맞이한 최고위급은 '서열 3위', 역대 5차례 가운데 중국 정상을 못 만난 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[자오러지 / 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장: 시진핑 주석께서 강조하시길 중한 관계가 좋으면 양측 모두 이익이지만, 그렇지 못하면…] <br /> <br />시 주석 면담 불발은 특사 파견과 한미일 정상회담 일정이 겹친 것과 무관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명 대통령이 특사 대신 직접 건너간 미국, 일본과 특사를 대신 보낸 중국이 비교되는 모양새. <br /> <br />야당에선 중국 눈치 보기라고 비판했지만, 중국 입장에선 시 주석이 직접 특사단을 맞이할 수 없는 외교 형식이 돼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[박병석 / 특사단장: 특사단 파견을 결정한 건 지금보다는 이른 시기였습니다. 한미 정상회담 시기와 겹쳐져 있어서 사실 마음이 많이 무거웠습니다.] <br /> <br />특사 파견이 늦어진 것도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앞서 박근혜·문재인 정부 때와 비교해도 늦었고, 12개국에 보낸 특사단 중에 가장 마지막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상하이협력기구(SCO) 정상회의로 시작되는 중국의 안방 잔치와 너무 가까웠습니다. <br /> <br />승전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는 국회의장의 방중과 불과 1주일 차이란 점도 무게감을 떨어뜨렸습니다. <br /> <br />열병식에 불참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달리, 북한에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석하기로 하면서 남과 북을 향한 중국의 온도 차이는 더욱 선명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83023011460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