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감귤 찍으니 열매 수 '척척'...생산량 예측도 'AI' / YTN

2025-08-30 17 Dailymotion

인공지능이 농업 기술에 접목되면서 제주 감귤 산업이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마트폰으로 감귤 사진을 찍기만 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열매 수를 세고 생산량까지 예측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감귤농가에서 나무 한 그루를 정해 스마트폰으로 구석구석을 촬영합니다. <br /> <br />촬영한 사진을 플랫폼에 올리자 약 40분 만에 3D 모델이 생성됩니다. <br /> <br />곧바로 AI가 분석을 시작하고 열매 수와 크기 등이 자동으로 산출됩니다. <br /> <br />AI와 3D 입체모델링을 활용한 감귤 생산 예측모델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감귤 생산량 예측은 사람에 의존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매년 5월과 8월, 11월 세 차례에 걸쳐 320개 표본 감귤원을 방문해 생산량과 등급별 품질을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람이 일일이 관측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무더위로 인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계측 오류를 발견하더라도 생육단계가 지나면 사실상 재측정이 불가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농업 통합 플랫폼 '제주DA' 내에 AI 기반 감귤 생산량 예측 모델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태우 /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: 감귤 열매라고 하는 것이 계속 생육이 발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 시기를 놓치면 다시 계측할 수가 없습니다. 3D 모델링화해서 이미지를 만들어놓으면 오차나 오류 부분이 있다고 하면 다시 계측해볼 수도 있고….] <br /> <br />해당 모델은 지난 10년간 축적된 감귤 관측조사 데이터와 기상청 정보, 위성 기반 식생지수를 결합한 기계학습 방식으로 구현됐습니다. <br /> <br />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8종의 예측모델을 적용해 비교·검증했으며, 꽃과 잎의 비율, 열매 수, 크기 등 감귤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반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태우 /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: (AI 생산량 예측이) 오차가 아예 없이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겁니다. 그래서 사람이 계측하는 부분과 모델링화해서 AI로 분석하는 부분을 당분간 병행해나갈 겁니다. 그래서 신뢰도 부분을 높여서….] <br /> <br />AI 도입으로 보다 정확한 감귤 생산량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시장 안정과 정책 마련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우 kctv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83103132885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