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부 통신사에서 해킹 의혹이 불거지자 정부가 조사에 나섰다. 개인정보보호위원회(개인정보위)는 10일 “KT와 LGU+의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미국의 보안전문지 프랙(Phrack)은 최근 북한 정찰총국 소속으로 추정되는 해커 조직 김수키(Kimsuky)가 KT와 LG U+를 해킹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. 김수키가 KT 웹서버 보안 인증서, LG유플러스 내부 서버 계정 정보, 직원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다는 주장이다. <br /> <br /> 또 KT 이용자들이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피해를 보는 사례도 확산하고 있다.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 124건이 접수됐다. 경찰이 확인한 피해자들은 모두 KT 통신사 가입자다. <br /> <br /> KT·LGU+ 조사 착수한 개인정보위 <br /> <br />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“해킹 의혹과 소액결제 유출 의혹에 대해 각각 조사해달라는 민원을 받았고,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의 개연성이 있다고 판단해 조사를 시작하게 됐다”고 설명했다. <br /> <br /> 다만 해당 기업으로부터 별도의 개인정보 유출신고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한다.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“그간 (KT와 LGU+ 해킹 의혹을) 언론보도 등을 통해 인지하고, 해당 기업 대상 자료요구·면담, 유관기관 정보공유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해 왔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시민단체의 조사 요청도 정부가 나선 이유다. 서울YMCA는 지난 4일 “통신사의 수많은 가입자가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”면서 “개인정보위가 신속한 조사로 사실관계를 규명하고 이용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65887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