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란이 국제원자력기구(IAEA)와 핵시설에 대한 국제사찰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고 현지 시간 9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과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이날 이집트 카이로에서 회동한 후 '이란 내 사찰활동 재개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'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그로시 총장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번 합의는 기술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며, 핵확산금지조약(NPT)에 따라 이란에서 재개돼야 하는 '필수적인' 사찰 활동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 외무부는 이번 합의에 대해 "미국이 이란의 평화적 핵시설을 불법 공격한 이후의 새로운 상황"을 고려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은 지난 6월 이스라엘과 미국으로부터 핵시설 폭격을 받은 이후 IAEA 사찰관의 핵시설 방문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합의는 2015년 체결된 이란 핵합의(JCPOA·포괄적공동행동계획)에 따라 해제된 제재를 서명 당사국인 영국·프랑스·독일 등 유럽 3개국(E3)이 복원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E3는 이란 핵프로그램을 문제 삼아 지난달 28일 유엔 제재 복원 절차인 '스냅백' 가동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이란이 핵사찰 재개를 허용하고 고농축 우라늄 재고를 관리하며 미국과 협상을 재개할 경우 관련 절차를 연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스냅백 메커니즘이 발동됨에 따라 기존에 해제된 유엔 제재가 다시 발효되기까지 30일간의 유예 기간이 적용됩니다. <br /> <br />이 기간 안에 안보리가 기존 제재 해제를 유지한다는 별도의 결의안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대이란 제재는 자동 복원됩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는 이날 이란과 IAEA의 합의가 핵사찰 재개, 고농축 우라늄 재고 관리의 목표를 충족하지만, 이달 말 시한까지 유럽을 만족시키고 스냅백을 막을 만큼 충분한 조치가 이뤄질지는 불확실하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'악마는 디테일에 있다'는 외교관들의 경고를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시 총장이나 아락치 장관 모두 IAEA의 사찰 재개 '방식'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아락치 장관은 이란이 다시 공격받을 경우 IAEA와의 모든 협정이 무효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은 이란핵합의를 위반해 핵무기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핵연료를 만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1기에 이란핵합의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영희 (kwony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91009374090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