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금됐던 직원들이 무사히 돌아왔지만 우리 기업들은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에 투자한 공장이 20여 곳에 달하는 만큼 불안감은 더 클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이 비자 문제 해결을 조건으로 미국인 고용과 기술 교육을 내세우고 있어 고민은 한층 깊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박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막바지 작업이 한창이었던 '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은 미국 당국의 한국인 구금 이후 건설이 전면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새로운 비자 발급 기한 등을 고려하면 공장 재개까지 몇 달은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사태가 발생한 조지아주를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와 미시간 등에서 공장을 건설 중이고 LS전선은 버지니아주에 해저케이블 공장을 짓는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신·증설 중인 공장은 최소 22곳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 구금 사태 같은 일이 또 생기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는 상황. <br /> <br />외교부와 미 국무부 등이 협의 중인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불안감은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기업들은 정부에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(E-4) 쿼터 신설과 대미 투자 기업 고용인 비자(E-2) 승인율 제고 등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미국 출장 때 주로 활용했던 단기 상용 비자(B-1)에 대한 미국 정부의 명확한 지침을 재확인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더욱이 비자 문제 해결 조건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 고용과 기술 훈련을 내세우면서 우리 기업들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 짓고 있는 생산시설 대부분은 고도의 전문 인력이 필요한 업종들인데 미국은 제조업 생태계가 무너진 지 오래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지에서 전문직을 구하기 힘들고 교육을 해서 업무에 투입하기까지 인건비는 물론 시간도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허 정 /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: 그냥 무슨 기계 놓고 컴퓨터 놓고 사람들 가서 하면 되는 그런 게 아니라 / 그것을 다뤄봤던 숙련된 인력들이 한국에 이미 있고 현재로는 대체 불가한 인력인 거죠.] <br /> <br />게다가 인력 훈련 과정에서 기술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유례없이 터진 한국인 구금 사태로 미국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가운데 기업들은 일단 한미 정부의 협의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조은입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조은 (joe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91219015995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