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배우 몸값 논란 사라지나? 출연료 '3억 제한' 건 넷플릭스 [지금이뉴스] / YTN

2025-09-15 7 Dailymotion

넷플릭스가 톱 배우들의 출연료에 제동을 겁니다. 4억~5억원 심지어 8억원에 달하는 회당 출연료로 한국 콘텐츠를 싹쓸이하던 넷플릭스가 시리즈 회당 상한선을 3억 원대까지 낮춘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 /> <br />14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‘배우들의 몸값 낮추기’에 본격 들어갔습니다.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천정부지로 치솟던 출연료에 브레이크를 건 셈입니다. <br /> <br />출연료를 낮춰도 넷플릭스 작품에 주연 배우들이 줄을 섰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요즘 유명 배우들은 방송, 영화관보다 글로벌 플랫폼 넷플릭스에 대한 선호가 절대적입니다. <br /> <br />넷플릭스로 배우들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업계 관계자는 “작품마다 차이가 있지만, 넷플릭스가 사실상 출연료 상한선을 두고 당초 보다 낮은 금액의 출연료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”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넷플릭스가 K콘텐츠의 부흥을 이끌었지만 한편으론 한국 드라마 제작비 상승의 주범이라는 비판도 받았습니다. 불과 몇년 전까지 드라마 제작비는 회당 평균 3~4억 원이었습니다.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하면서 회당 제작비 20억원이 흔해졌습니다. 제작비의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이 배우 출연료입니다. <br /> <br />배우들의 출연료를 높이면서 전체 제작비 상승으로 이어졌고, 자금력에서 밀리는 국내 방송 및 토종 OTT의 드라마 제작 편수는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. 2022년 141편에서 올해는 80여편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한편에선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넷플릭스 실적을 견인하는 것을 감안하면, 수억원대 출연료가 아깝지 않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 콘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넷플릭스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.9% 증가한 110억7900만 달러(한화 약 15조4400억 원)였으며, 영업이익은 무려 45%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(한화 약 5조2489억 원)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넷플릭스 관계자는 “한국 콘텐츠가 이렇게 잘 되고 글로벌적으로도 사랑받고 성공하고 있지만, 제작비가 늘어나는 부분이 생기면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 생각한다”며 “저희 나름대로 적정한 예산에 적정한 출연료를 드리는 게 배우에게도, 저희에게도, 작품에게도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고민하고 있다”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디오 ㅣ AI 앵커 <br />제작 ㅣ 최지혜 <br />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1510224234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