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고액자산가와 금융 전문가들이 1천억 원대 주가 조작에 나선 정황이 금융당국에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1호 사건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했던 패가망신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손효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동원해 특정 종목의 주가를 조작해온 일당이 덜미를 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, 한국거래소 3개 기관이 힘을 합친 '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'이 출범한 지 두 달 만에 내놓은 1호 사건입니다. <br /> <br />합동대응단은 대형학원·의료재단을 운영하는 재력가들이 금융회사 지점장과 같은 금융 전문가와 함께 조직적으로 시세를 조종한 혐의를 포착하고 이들 7명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 승 우 /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장: (혐의자들은) 거래가 성황을 이루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고 혐의 기간 중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시세조종 주문을 제출하는 등 집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지배했습니다.]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파악한 주가조작 기간은 지난해 초부터 1년 9개월가량. <br /> <br />이들은 시세보다 비싼 가격으로 주식을 사들이거나 가짜 매수 주문으로 주가를 올려 다른 투자자들을 유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수만 차례에 걸친 가장·통정매매로 거래량을 부풀렸고 금융당국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계좌를 분산해 사고팔거나 주문 IP를 조작한 것으로도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벌어들인 시세 차익은 230억 원, 실현하지 않은 이익까지 포함하면 부당이득은 400억 원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주가조작에 활용된 계좌 수십 개에 대해 처음으로 지급정지 조치를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조작 대상으로 연루됐다는 보도가 나온 DI동일은 30% 가까이 떨어져 하한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DI동일 측은 만약 피해 기업이라 하더라도 주가 조작과 무관하며, 불법 세력의 주가 조작 피해자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대응단은 혐의자에게 최대 800억 원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하고 '원 스트라이크 아웃'의 본보기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손효정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기자 : 김광현 <br /> <br />디자인 : 윤다솔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손효정 (sonhj071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92319582021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