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교학점제가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지만,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부담이 너무 크다는 교사들의 반발이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이런 의견을 수렴해 제도를 손보기로 했는데, 정작 학생들의 불안을 해결할 뾰족한 방안은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1학기부터 시행된 고교학점제는 일선 교사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습니다. <br /> <br />학점 이수제 그리고 최저성취수준 보장이 논란의 핵심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교학점제 도입 뒤 과목별 학점이 40점에 못 미치면 졸업할 수 없고, 출석도 모든 과목에서 2/3 이상 채워야 합니다. <br /> <br />수업 일수만 채우면 됐던 기존 방식과 달리 공부를 제대로 해야 졸업장을 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과정에서 교사는 성적이 낮은 학생에게 반드시 보충수업을 해야 하고 학생부 기재사항도 많아지는 등 부담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교사의 수업부담, 행정업무 가중하고 교과 전문성 약화하는 고교학점제 폐지하라! <br /> <br />시도교육감, 교원단체 등과 논의한 끝에 교육부는 제도 완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학점 이수 기준을 낮춰 공통과목은 성적과 출석 모두를 고려하지만 선택과목은 출석만 고려하는 방안, 혹은 전체 과목에서 출석률만 보는 방안 등이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국가교육위원회 결정 사항이라 내년 2월까지 논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예방, 보충수업도 학점당 5시수에서 3시수로 줄이고, 결석생의 온라인 강의 수강도 인정해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해결할 대책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대학마다 요구하는 선택과목이 다르고, 내신의 유불리까지 따져야 하는 탓에 고교학점제 컨설팅 업체는 성황입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전국 일반고, 특목고, 자율형공립고 가운데 10% 이상이 공교육 예산으로 사교육업체의 상담을 지원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진로교육 강화와 교사 추가 채용을 약속했지만, 학생들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수준인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염혜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고창영 <br />디자인 : 임샛별 <br />화면제공 : 전교조 유튜브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염혜원 (hye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92705320168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