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국방부 인도 태평양 차관보 지명자가 한국군 역량이 대중국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계인 존 노 지명자는 현지 시간 7일,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 답변서에서 "한국은 주로 한미동맹의 대북 재래식 억제에 집중해야 하지만, 많은 역량이 대중국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한국군의 장거리 화력과 통합 방공, 미사일 방어, 그리고 우주전, 전자전과 같은 역량은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맞서 지역 내 억제를 강화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발언은 한미 동맹 현대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군사적 위협이 현실화할 경우 지역 내 미군은 물론 한국군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노 지명자는 "서해에서 중국의 활동은 한국을 위협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"며 "인준된다면 이런 활동을 검토하고 적절한 대응을 제안하기 위해 미 정부 동료들과 함께 한국 측과 협력하겠다"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인도·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국방과 안보 우선순위는 여전히 가장 심각한 군사적 위협으로 남아있는 중국을 억제하는 데 중심을 둬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"주한미군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하도록 태세를 갖추고 배치돼 있다"며 "현 안보 환경에 적절히 초점을 맞추도록 한국 정부와 협력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미군의 전 세계적 태세는 미국이 유사시 최적의 태세를 갖추고, 동맹과 파트너들이 그들의 안보에 적절히 투자하도록 계속 재평가된다"며 "현 지역 안보 환경을 고려해 한반도에서의 미군 태세를 조정"하는 방안을 태평양 사령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일본, 호주,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, 파트너들과 협력해 그들의 방위 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자국 국방 투자를 크게 늘리고 지역 안보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지도록 요청해야 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 지명자는 타이완이 자기 역할을 하고, 국방 지출을 늘려야 한다면서 타이완이 국내총생산, GDP의 10%를 국방 지출에 써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계인 노 지명자는 지난 6월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 인도·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에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태 지역의 안보 정책과 전략을 담당하는 인태 안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윤정 (yjshin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100802030699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