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조엘 모키어(79)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지난 수십 년간 놀라운 성장을 이룬 한국의 경제 전망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면서 "한국은 지금까지 해온 것을 지속해야 한다"라고 제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모키어 교수는 현지시간 13일 기자회견에서 한국경제의 성장 둔화 해법에 관한 한국 취재진 질의에 "한국에서 이런 질문이 나온다는 게 다소 아이러니하다"며 이처럼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모키어 교수는 "한국은 1950년대 매우 낮은 1인당 국민소득에서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로 기적적으로 성장한 부유하고 평화로운 국가"라며 "내가 걱정하는 국가는 북한, 미얀마 등과 같은 국가들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사학자인 모키어 교수는 기술 진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전제 조건을 파악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모키어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성장을 정체시킬 수 있는 우려 지점이라고 인정하면서도 "한국은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국경을 개방하고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모키어 교수는 "한국은 인구 통계적 문제를 제외하고는 성장이 지속할 수 없는 특별한 이유를 보지 못한다"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모키어 교수는 "인공지능(AI)이 인류를 멸종으로 몰아넣고 지구를 장악할 것이란 생각은 사람들이 디스토피아 공상과학 소설을 너무 많이 읽었기 때문"이라며 "그런 종류의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AI가 일자리를 없앨 것이란 주장에 대해서도 작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론 아제모을루 미 매사추세츠공대(MIT) 교수의 주장을 인용하며 "AI는 사람들을 더 흥미롭고 더 도전적인 일로 이동시킬 것"이라고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이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모키어 교수를 비롯해 필리프 아기옹(69), 피터 하윗(79) 등 3인을 선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왕립과학원은 "올해 경제학상 수상자들은 혁신이 어떻게 더 큰 진보를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지 설명한다"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기자: 박영진 <br />오디오: AI앵커 <br />자막편집: 박해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101408091378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