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명 다한 스리마일 원전, 전력 확보 위해 재가동 <br />구글·AWS, SMR 등 자체 에너지원 확보 추진 <br />미국, 에너지원·데이터 센터 등 인프라 투자 유치 <br />트럼프 정부, 2050년까지 원전 4배 확대 방침<br /><br /> <br />우리 정부와 기업이 엔비디아 GPU 26만 장을 확보했지만, 인공지능 시대 3대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 수급 문제 역시 선결 과제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폐쇄됐던 원전을 재가동하면서, 빅테크들이 직접 인프라 확보를 위한 총력전에 뛰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동부 펜실베니아주에 위치한 스리마일 원자력 발전소, 1970년대 방사능 유출 사고로 두 기 가운데 2호기는 이미 폐쇄됐고, 1호기 역시 2019년 수명을 다해 정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인공지능 시대 전력 수요 확대에 재가동, 부활을 앞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전 재가동에 시동을 건 것은 AI 데이터센터에 쓸 대규모 전력을 직접 확보하기 위해 나선 마이크로소프트였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구글과 아마존웹서비스까지 소형모듈원자로 SMR 개발·건설을 추진하면서 인공지능 클라우드의 3대 기업이 모두 자체 에너지원 확보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도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AI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원 확보, 송전망 건설 투자를 유치했고,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은 100GW에서 400GW로 4배 더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1월) : 새로운 미국 회사가 미국 내 AI 인프라에 최소 5천억 달러를 투자하며,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여 거의 즉시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한국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어렵사리 확보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가속기, GPU 26만 장에 필요한 에너지는 원전 한 기의 생산 전력과 맞먹는 수준. <br /> <br />여기에 아마존웹서비스가 울산에 대규모 데이터 센터 투자를 선언하며 필요 전력 역시 더 확대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기업들은 인공지능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태원 / SK그룹 회장 (지난 3일) : (인공지능) 칩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도 다 바틀넥(병목현상)으로 존재하기 시작했습니다. 이미 에너지도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….] <br /> <br />[최수연 / 네이버 대표 (지난달) : AI 데이터 센터를 둘러싼 전력과 환경 이슈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110805185898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