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능이 어느덧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비슷한 출제 경향을 유지할 거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킬러 문항이 사라진 대신, 응용과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중고난도 문항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뒤 '물수능'은 단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부터는 '킬러 문항'도 사라져 '불수능'이 될 가능성 역시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이유로 전문가들은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거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변별력은 과목별로 1~2문항씩 출제되는 중고난도 문항으로 잡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과 9월 수능 모의평가에서부터 이어져 온 기조입니다. <br /> <br />[윤윤구 / 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교사 (지난 9월) : 영역별 과목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변별력 있는 문항들을 배치해서 적절한 수준의 난도를 유지하였지만, 수험생의 학습 준비 상태에 따라서 조금 더 어렵게 느껴지는 문항들이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EBS 등에서 접해본 친숙한 지문이나 문제유형이 많겠지만, 매력적인 오답이 수험생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문에 쓰인 단어와 비슷한 개념의 다른 용어로 보기를 바꾸는 식입니다. <br /> <br />정확한 답을 고르기 위한 응용과 추론 능력이 상위권을 가를 열쇠가 될 거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[임성호 / 종로학원 대표 : 최근 5지 선다에서 정답을 고르기가 어려운 문항들이 다수 출제가 되고 있습니다. 정답이 아니더라도 5지 선다에 나왔던 단어, 개념, 패턴, 함정 이런 부분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당락을 가를 핵심은 탐구영역이 될 거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역대급 '사탐런'인 만큼 사회탐구를 선택한 수험생은 한 문제 차이로 등급이 갈릴 가능성이 크고, 과학탐구 일부 선택과목은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YTN 염혜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안홍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염혜원 (hye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111006254290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