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사들이 계열사들을 총동원해 공공택지를 낙찰받은 이른바 벌떼입찰, 지금은 금지된 이 벌떼입찰을 둘러싼 부당지원 행위가 또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 브랜드 린으로 알려진 우미그룹이 벌떼입찰을 위해 총수 2세 회사를 비롯한 계열사에 공사를 몰아줬다가 과징금 484억 원과 함께 검찰 수사를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7년 우미그룹 총수인 이석준 부회장의 두 아들 승훈, 승현 씨가 자본금 10억 원으로 설립한 우미에스테이트, 별다른 실적도 없고 적자 상태에서 그해 우미그룹이 시행하던 남양주 별내 아파트 공사에 비주관시공사로 선정됐고, 2023년 기준 백 억대 영업익을 내는 회사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아들은 뿐만 아니라 우미개발에 지분을 팔아 5년 만에 차익 117억 원을 벌었습니다. <br /> <br />우미그룹은 지난 2017년부터 이렇게 별다른 실적이 없던 5개 계열사에게 12개 아파트 공사에서 5천억 원에 육박하는 일감을 몰아주고 직원들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건축공사업 면허조차 없던 회사도 자격을 갖춰줬습니다. <br /> <br />벌떼입찰이 사회적 문제가 되자 3백 세대 이상 주택건설 실적이 있어야 입찰 1순위로 참가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실적을 채운 5개 계열사들은 공공택지 입찰 275건에 참여했고, 우미에스테이트와 심우종합건설은 2020년 2개 공공택지를 낙찰받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두 회사는 8백억 원대 이익을, 그룹 전체는 천2백억 원대 이익을 추가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우미그룹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83억7천9백만 원을 부과하기로 하고, 주요 역할을 한 우미건설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 장 관 /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감시국장 : 계열회사에 합리적 사유 없이 상당한 규모의 아파트 공사 일감을 몰아주어 과다한 경제상 이익을 제공한 부당지원행위를 제재한 사례입니다.] <br /> <br />우미건설은 조사 과정에서 자사 입장이 받아들여지지 못한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의결서를 받은 뒤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엄격하고 투명한 준법경영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11171651484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