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새누리당 친박 지도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언급한 안정적인 정권 이양을 위해 국회가 나서 합의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 탄핵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야권에 협상에 나서라고 촉구한 겁니다.<br />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박근혜 대통령의 조기 퇴진과 관련해 새누리당 주류는 '국회의 책임 있는 역할'을 내세워 야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박 대통령이 국회에 일정 제시를 요청한 만큼 여야 협상으로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안정적인 정권 이양의 틀을 마련하는 건 국회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면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무기력 집단으로 손가락질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이정현 / 새누리당 대표 : 그걸 꼼수라고 얘기한다면 저는 그건 지나친 피해의식이라고 보고 국회의 지나친 무기력함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봅니다.]<br /><br />비주류를 향해서도 포문을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조원진 최고위원은 당 분열을 일으키는 탄핵 논의를 중단하라면서 비상시국위원회 해체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[조원진 / 새누리당 최고위원 : 비상시국회의 존재가 필요 없죠. 그리고 탄핵은 현실적으로 힘들 것 같아요. 그래서 서로 간의 입장만 어려우니까….]<br /><br />특히 대통령 퇴진 시기와 관련해서는 내년 4월 말을 제시하며 이를 전제로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야당과의 협상 전면에 나선 정진석 원내대표도 여야 원내대표들이 모여 슬기롭게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한다면서, 전직 국회의장과 원로들이 제안한 내년 4월 사퇴와 6월 대선이 기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정진석 / 새누리당 원내대표 : 대통령은 퇴임 시기와 방식을 국회에 모두 일임했습니다. 여야가 차기 대선 일자를 합의하면 그것이 곧 대통령 사임 시기가 되는 것입니다.]<br /><br />이와 함께 친박 지도부는 비주류가 주축이 된 비상시국위를 해체하고 탄핵 추진을 중단하면 즉각 사퇴하겠지만, 반대로 탄핵을 추진 강행하면 애초 공언한 12월 21일 사퇴 로드맵도 거두겠다며 배수진을 쳤습니다.<br /><br />YTN 강희경[kangh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13022031103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