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국정교과서 공개 뒤 예상대로 교육 현장의 갈등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국정교과서를 쓰지 않겠다는 교육감에 맞서 교육부는 법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, 대통령 탄핵 정국과 맞물려 추진 동력을 이미 사실상 상실한 국정교과서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.<br /><br />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국정교과서를 공개한 뒤 입을 굳게 다물던 교육부가 강공책을 들고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서울, 광주 전남 교육청을 콕 찍어 지금 같은 분위기를 몰고 가면 법적 대응을 하겠다면서 말입니다.<br /><br />[이 영 /교육부 차관 : 필요한 경우 교육부는 시정 명령과 특정 감사 등 교육 현장의 정상화를 위한 모든 방안을 강구할 것임을 분명히 밝힙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울산과 대구 경북을 제외한 14개 교육감의 국정교과서를 쓰지 않겠다는 의지엔 변함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서울시교육청은 내년 모든 중학교에서 역사 국정교과서를 쓰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.<br /><br />시민단체의 반응은 더 싸늘합니다.<br /><br />현대사 분량은 확 줄었는데 박정희 서술은 오히려 늘어난 국정교과서의 의도를 특히 의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국정교과서가 대통령의 의지로 추진된 만큼, 추진 동력은 사실상 상실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결국, 이달 23일로 예정된 여론의 흐름이 교과서의 운명을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국정교과서 공개 사흘 현재 현장 검토본을 열람한 사람은 모두 5만 4천여 명입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628건의 적극적인 의견이 접수됐는데, 교육부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 주 초 밝히겠다고 합니다.<br /><br />YTN 이승훈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120117005045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