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우리 시각으로 내일 새벽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급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대북 제재결의안을 표결에 부칩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제재에 반대했던 중국과 러시아도 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뉴욕 연결합니다. 김영수 특파원!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이 진통을 겪었는데요. 내일 새벽 표결이 진행된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주유엔 한국 대표부가 공식적으로 확인을 했는데요.<br /><br />현지 시각으로 5일 오후 3시, 우리 시각으로 내일 새벽 4시, 15개 안보리 이사국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공식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은 중국과 줄다리기 끝에 북한 수출의 3분의 1을 봉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결의안 초안에 합의했으며 다른 이사국들도 회람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초안에는 북한의 석탄과 철, 철광석과 납, 해산물 등의 수출을 봉쇄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으며, 북한의 연간 대외수출액 30억 달러 가운데 10억 달러가량이 제재를 받을 것으로 추산됐습니다.<br /><br />초안에는 또 북한의 노동자 국외송출을 금지하고, 북한과의 어떤 형태의 합작투자도 차단하는 내용도 포함됐고, 금융거래가 중단되고 자산이 동결되는 대북 블랙리스트에 조선무역은행이 추가됐으며 개인 9명과 4개 단체도 제재 대상에 추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또 유엔 결의안을 위반한 북한 선박에 대해서도 모든 유엔 회원국의 항구에 입항이 금지됩니다.<br /><br />다만 북한 정권의 생명줄로 여겨지는 원유공급 차단 조치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 결의안이 채택되면 지난 2006년 첫 결의안 이후 제8차 대북 제재결의안이 됩니다.<br /><br />결의안이 채택되려면 미국과 중국, 러시아와 프랑스, 영국 등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 상황에서 15개 이사국 가운데 9개국 이상 찬성하면 됩니다.<br /><br />일단 안보리 회의가 열리게 됨에 따라 그동안 새로운 대북 제재에 반대했던 중국과 러시아도 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가 적극 반대했던 원유 공급 차단 제재를 거둬들이면서 협의가 급진전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80509211314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