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6차 핵실험에 대응하는 새 대북제재 결의안을 우리시간 오늘 오전 표결에 부칩니다.<br /><br />새 대북제재안은 김정은 자산동결을 제외하는 등 초안보다 후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 특파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. 김희준 특파원!<br /><br />안보리 새 제재 결의안이 언제 표결에 부쳐집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응징하기 위한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을 우리시각 오늘 오전 7시 표결에 부칩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제안한 초강경 대북 제재안은 중국, 러시아와의 물밑 협상을 거치면서 초안보다 후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지금도 미,중,러 간에 막판 줄다리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안보리 결의안 초안에는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처음으로 제재 명단에 올리는 것을 비롯해 대북 원유 봉쇄 등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돈줄을 죄기 위한 강력한 내용이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, 러시아의 반발로 최종안에는 김정은 위원장의 이름은 제재 대상에서 빠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로이터통신은 제재 초안에는 김 위원장을 비롯해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등 총 5명이 제재 명단에 포함됐지만, 최종안에는 제재대상이 단 1명으로 줄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한에 가장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대북 원유와 석유제품 수출 전면금지는 현 수준 동결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반면에 북한의 주력 수출상품인 섬유제품 수출 금지는 미국 제안대로 포함됐구요,<br /><br />천연가스액과 천연가스 부산물 경질원유 응축액 수출도 금지됩니다.<br /><br />북한 해외노동자에 대한 고용과 기존 노동자에 대한 임금 지급 전면금지도 추진됐지만, 최종안에는 신규 고용 시 안보리에서 허가를 받는 방안으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대북 제재 결의안이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반영해 상당히 후퇴한 만큼 결의안은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은 미국·중국·러시아·프랑스·영국 등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 가운데 15개 상임·비상임 이사국 중 9개 나라 이상이 찬성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91200005719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