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이번 북한의 SLBM 발사로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속도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반면 북한의 SLBM 발사 문제를 논의할 유엔 안보리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소극적으로 나올 개연성이 높아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이 1차 핵실험을 단행했던 것은 지난 2006년 10월이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제재 결의안 1718호를 채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때 결의안 내용에는 추후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발사(any launch using ballistic missile technology)는 유엔 결의안 위반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북한의 SLBM 시험 발사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동입니다.<br /><br />정부 당국자는 이번 SLBM 시험발사의 경우 유엔 안보리 회부 사안이지만 문제는 중국과 러시아가 어떻게 나오느냐,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첫 시험대가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사실 사드 배치 결정 이전 중국과 러시아는 대북제재에 협조하겠다는 약속을 거듭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 결과물이 지난 3월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였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가 강하게 반발하는 등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: 사드 문제가 불거지면서 핵 문제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가... 특히, 중국이 상당히 소극적으로 나올 수 있는 이런 점들을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고...]<br /><br />반면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속도는 북한의 이번 SLBM 시험발사로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결국, 동북아 안보 정세 변화에 따라 미중간 대립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은 미국과 함께하고, 북한은 중국에 의지하려는 원심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070917000331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