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사무직 근로자의 퇴직 연령이 생산직 근로자보다 평균 3년이나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생산직은 일반적으로 노동조합의 보호를 받지만, 사무직은 기댈 곳이 없는 게 원인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양시창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한국노동연구원이 제조업과 금융, 공공부문 등 100인 이상 기업 272곳의 퇴직 연령을 조사했습니다.<br /><br />사무직의 평균 퇴직 연령은 55.7세, 생산직 근로자의 58.7세보다 3년이나 낮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석유화학업종의 경우 사무직 근로자의 퇴직은 50세로 생산직 근로자의 58세보다 무려 8년이나 빨랐습니다.<br /><br />또 대규모 명예퇴직이 진행되고 있는 조선업종도 5년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두 집단의 퇴직 연령 차이가 가장 적은 업종은 철강업종으로 1.5세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강력한 노동조합이 방패막이 되는 생산직과 달리 사무직은 보호막 자체가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박명준 /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: 노동조합이 상대적으로 자신의 조합원을 생산직 위주로 설정하면서 그들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가 이뤄졌고 상대적으로 고령 사무직들은 자연스럽게 거기서부터 배제되는 방식으로 갔기 때문에….]<br /><br />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조기 퇴직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은 사무직과 생산직 모두 300인 미만 중소기업보다 퇴직 시기가 훨씬 빨랐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사무직 출신의 중장년 근로자들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하는 등 고령 인력 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YTN 양시창[ysc08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82214043842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