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국과 중국이 사드 문제로 촉발된 외교 냉각 상황을 봉합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북핵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집중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과거 한국과 중국이 긴밀한 소통을 유지할 경우 북핵 문제가 선순환 양상을 보인 적도 있었던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적인 여건은 좋아진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한국과 중국이 약 2년 만에 관계 정상화에 나서면서 북핵 문제에서 국면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여건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과 중국이 협력할 경우 북핵 문제에서 긍정적인 상황이 전개된 사례가 많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1999년과 2000년 미국이 페리 프로세스를 채택해 북한과 관계 개선에 나선 것을 비롯해 2003년 6자회담 출범 국면, 2005년 9.19 공동성명 채택 국면 뒤에서 한국과 중국은 긴밀한 소통 채널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국과 중국이 이번에 사드 문제를 봉합하는 배경에 미국의 협조가 있었다는 점도 의미가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또 우리 정부가 사드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우려를 해소하는 노력을 보인 점은 정확한 사태 진단과 적확한 대응 조치를 채택한 결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사드 추가 배치 관련해서 우리 정부는 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. 분명히 말씀드립니다.]<br /><br />북한이 두 달 가까이 도발을 유보한 것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활로를 열어야 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다만 북한과 미국이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갖지 않을 경우 주변의 촉진 노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도 사실입니다.<br /><br />또 북한과 중국 관계가 예전 같지 않고, 중국의 대북 영향력도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북핵 문제 해결을 낙관할 수 없다는 신중론은 여전히 유효합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, 지난해부터 남북관계 단절과 주변국 외교 공백 등으로 사방이 막혀 있었던 우리 외교가 1년 만에 활로를 찾고, 북핵 국면 전환을 위한 다음 단계 노력을 전개할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진전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3120125588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