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북미 간 교섭에 나설 의지를 밝힌 데 대해 백악관은 그럴 계획이 없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북 특사 파견을 통한 북미 대화 재개에 뜻이 없음을 분명히 밝힌 겁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상호 위협을 이어가며 긴장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북미 간 대화의 물꼬를 트겠다며 평양 방문 의사를 밝힌 지미 카터 전 대통령.<br /><br />하지만 백악관은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이 현재는 트럼프 정부의 고려 사항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새라 허커비 샌더스 / 美 백악관 대변인 :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은 현재 진행 중이지 않습니다. 그것은 북한에 대한 현재 우리의 계획이나 생각과는 동떨어져 있습니다.]<br /><br />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는 북한과는 물밑 협상에 나설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겁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NBC 방송은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북미대화 재개를 위해 노력하며, 틸러슨 장관을 비롯한 고위급 특사의 방북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대화를 '시간 낭비' 라고 일축한 만큼 현실화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매티스 국방장관은 국무부의 외교적 노력을 평가하며 '평화적 해법'을 연일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제임스 매티스 / 美 국방장관 : 틸러슨 국무장관이 분명히 밝혔듯 우리의 목표는 전쟁이 아닙니다.]<br /><br />이는 무력 충돌 가능성을 낮추되 당분간은 대북 제재와 압박에 몰두하겠다는 뜻으로 읽힙니다.<br /><br />북미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다음 주 시작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서 어떤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102806043358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