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와 여당이 일자리의 양과 질을 높이는 기업에 대해 세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큰 관심사였던 초대기업과 고소득자에 대한 증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을 더 협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박광렬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집권 여당 원내 지도부와 정부의 경제 사령탑이 손을 맞잡았습니다.<br /><br />일자리 창출을 위한 세법 개정안과 소득 재분배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[김동연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: 크게 3가지로 저희가 준비하고 있는데 첫째로는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세제 개편이고요. 두 번째는 소득 재분배 강화입니다.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재정의 적극적 역할, 재정기반확충이 되겠습니다.]<br /><br />세제 지원의 핵심은 역시 일자리입니다.<br /><br />우선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임금을 올린 기업에 세액 공제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: 고용을 증가시킨 기업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는 고용증대세제를 신설하고,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임금을 증가시키는 등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업의 세액공제를 확대하며….]<br /><br />또 영세 자영업자에게는 체납 세액을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기업의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는 이른바 '자영업 살리기' 방안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소득 재분배를 위한 초대기업과 고소득자에 대한 과세 강화 방안도 논의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구체적인 인상 폭과 과세 기준은 계속해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논의되고 있는 안은 과세표준 연 2천억 원이 넘는 대기업과 연 3억 원이 넘는 고소득자에 대해 소득세율을 높이는 겁니다.<br /><br />구체적인 세법 개정안은 다음 달 2일 정부가 발표합니다.<br /><br />야당들의 반발이 거센 만큼 이를 잠재울 수 있는 적정 기준을 놓고 정부 여당의 고심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박광렬[parkkr08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72718140620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