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자동차·철강 '표적'..."통상전략 점검 필요"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FTA 재협상을 사실상 공식화하고 나서면서 경제계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이 불공정 무역의 원인으로 지목한 자동차와 철강 분야에 타격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양일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한미 FTA에 대한 불만을 여과 없이 드러내며 재협상을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집중적으로 문제 삼는 품목은 자동차와 철강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지난 2011년 86억 달러에서 지난해 155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 미국산 승용차의 수입액도 3억5천만 달러에서 지난해 17억 달러로 늘었지만, 금액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내 미국 자동차에 대한 수입규제가 이 같은 무역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또 값싼 중국산 철강을 사용한 우리나라 철강제품의 수출도 꾸준히 문제 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장벽을 없애고 시장 진입을 늘려야 합니다. 문재인 대통령과 자동차·철강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.]<br /><br />반면 재협상을 통해 우리가 적자를 보고 있는 투자·서비스 분야 등에서는 미국 측의 양보를 끌어낼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도 당당한 외교를 공언한 만큼 우리 정부 역시 미국 요구를 일방적으로 따라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재협상 타결에는 양측의 합의가 필요한 만큼 우리가 내주는 것이 있다면 반대로 받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홍준표 /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(한미 FTA 재협상에서는) 외교와 안보도 같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포괄적인 대응을 해야 합니다.]<br /><br />전문가들은 협상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 우리의 통상 전략을 재점검하고, 기업과 정부가 공동 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YTN 양일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0122030911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