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트럼프 대통령의 예측하기 힘든 돌발적인 언행은 미 국내는 물론 해당 외국까지 당황스럽게 만들죠.<br /><br />동맹인 우리나라와의 관계에서도 예상을 뒤엎는 주장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, 그런 돌발 발언의 속내는 무엇인지 취재기자와 한번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LA 김기봉 특파원 나와 있습니까?<br /><br />아무래도 사드 비용 문제부터 짚어봐야겠는데요, 오늘 미국 국가안전보좌관이 또 상황을 뒤집는 듯한 말을 했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허버트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국의 사드 배치 비용 부담과 관련해 재협상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앵커가 당신이 한국 측에, 한국이 부지 제공, 미군이 비용부담이라는 기존 협정을 지킬 것이라는 말을 했다는데 그게 사실이냐, 이렇게 물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맥매스터는 "내가 가장 하기 싫어하는 것이 대통령의 발언을 부정하는 것이다. 그런 게 아니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의 발언이라는 것은 아시는 대로, 사드 비용 10억 달러, 우리 돈 1조 천억 원이 넘는 돈을 한국이 내라는 것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대통령의 발언을 부정하는 것이 가장 싫다... 이 말은 결국 사드 비용을 한국이 내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말의 논리적인 흐름만 본다면 일단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맥매스터 보좌관은 "내가 말한 것은 '어떤 재협상이 있기 전까지는 그 기존협정은 유효하다는 뜻이다"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다시 말해 재협상을 하면 돈을 내는 주체가 달라질 수 있고,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뒤집는 것이 아니라면 한국이 내야 한다는 논리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드와 관련해 재협상이라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이뤄질 수 있으며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가질지는 불확실합니다.<br /><br />한반도 사드는 주한미군의 군사적인 전략의 하나로 미국의 주도하에 들여오게 된 것이고 따라서 장비의 설치와 운영은 당연히 미군이 부담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재협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이번 인터뷰는 국가안보보좌관이 대통령의 말을 공식적으로 번복할 수 없기 때문에, 원론적인 차원의 언급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해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자, 이게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발언에서 빚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,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아시다시피 트럼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50111502048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