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설 연휴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을 만나는 등 이른바 '제3지대' 논의가 서서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친박과 친문재인 세력을 제외한 인사들이 개헌을 매개로 뭉치자는 것인데 얼마나 위력을 발휘할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 정치사에서 대선을 앞둔 가장 성공적인 연대는 DJP 연합입니다.<br /><br />헌정사상 첫 수평적 정권 교체를 명분으로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총재와 자민련의 김종필 총재가 손을 잡았고 97년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.<br /><br />[김대중 / 제 15대 대통령(97년 12월 당선 소감) :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! 대단히 감사합니다. 건국 이래 처음으로 여야 정권 교체가 이뤄졌습니다.]<br /><br />이후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야권을 중심으로 여러 형태의 연대 논의가 있었고 일정 부분 성과도 거뒀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DJP 연합 같은 큰 성공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보수세력은 단순히 선거에서 이기고 보자는 정치공학적 연대에 불과하다고 비난했고 야권 역시 수평적 정권 교체와 같은 국민이 공감하는 명분이나, 구체적 권력 배분까지 합의하는 성공적 협상을 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박근혜 / 새누리당 대선 후보 당시(2012년 11월) : 단일화하는 과정을 보면 대의보다는 누가 더 유리한가 하는 권력 게임일 뿐이라는 생각입니다.]<br /><br />[문재인 /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(2012년 11월) : 안철수 후보의 진심과 눈물은 저에게 무거운 책임이 되었습니다. 저의 몫일 수도 있었을 그 눈물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<br />그런데 제3지대 논의는 훨씬 복잡합니다.<br /><br />단순한 야권 후보 연대가 아니라 이념적으로 보수와 중도 세력을 아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, DJP 연합 같은 양자 연대가 아니라 최소한 3명 이상의 대선 주자가 참여하는 다자 논의 구도이고, 조기 대선이 현실화되면 협상 기간도 넉넉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이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 개헌이라는 명분과 대통령 탄핵이라는 '혁명적 민심'이 제3지대 논의에 힘을 더해주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.<br /><br />결국 제3지대 논의는 잘되면 우리 정치사에 한 획을 긋는 일대 사건이지만 안되면 정치적 불확실성만 가중시키는 정치적 도박으로 끝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순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12813132483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