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올해 초 중국의 각종 경제 지표가 하락하면서 우리 금융시장은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올해를 마감하는 지금, 외부요인보다 더 큰 문제가 우리 경제를 위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제때 잡지 못한 가계부채입니다.<br />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올해 초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위협은 바로 중국이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제조업과 수출 성적표는 예상보다 나빴고 그때마다 주가는 폭락하고 환율은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 한국은행이 전문가들에게 물었더니 무려 73%가 중국 경기 둔화를 우리 금융시스템을 무너뜨릴 위험요인으로 꼽을 정도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반년 사이 상황은 확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중국 경기둔화를 제치고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에 가장 큰 위협으로 떠오른 겁니다.<br /><br />4월 말 답변보다 16%p나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가계부채 위험 수위가 임계치에 도달했다고 평가한 데 이어, 국제결제은행 BIS도 부채 위험을 '주의' 단계로 올렸습니다.<br /><br />대출 강화 방안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금융당국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임종룡 / 경제부총리 내정자 : 안정적인 거시 경제 관리 바탕 위에서 가계부채를 철저히 모니터링 하는 한편 이를 통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인 부채의 적정한 위험 관리를 기해나가겠습니다.]<br /><br />한 민간연구소는 올해 말까지 가계부채가 최대 1,360조 원까지 늘어나고, 내년에는 천5백조 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아파트 청약 과열 지역에 대한 규제까지 들고나왔지만, 결국은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규제가 없는 지역에 집을 살 거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50%를 넘었는데도 빚이 계속 늘어나는 상황을 두고, 전문가 10명 가운데 4명은 앞으로 3년 안에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'높다'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YTN 염혜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10707170484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