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병민 / 경희대학교 객원교수, 이종훈 / 정치평론가, 최진녕 / 변호사<br /><br /><br />북한 김정은이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표단을 파견할 용의가 있다는 내용의 신년사를 발표했습니다. 정부와 여당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가운데 야당은 경계의 목소리를 내면서 온도차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 세 분 모셨습니다. 김병민 경희대 객원교수, 이종훈 정치평론가 그리고 최진녕 변호사 나오셨습니다.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<br />김정은의 신년사에는 두 개의 키워드가 있습니다. 주제어 보이죠.<br />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앞으로 5개월 후 대한민국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립니다. 여러분, 상상해 보십시오. 고작 100km를 달리면 한반도 분단과 대결의 상징인 휴전선과 만나는 도시 평창에 세계인들이 모입니다. 개회식장에 입장하는 북한 선수단, 뜨겁게 환영하는 남북 공동 응원단. 그 상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적극 환영하며...]<br /><br />[김정은 신년사 : 남조선에서 머지 않아 열리는 겨울철 올림픽 경기대회! 민족 위상 과시하는 좋은 계기대회가 성과적으로 개최되기를...]<br /><br /><br />2개의 키워드는 핵과 평창입니다. 이종훈 평론가님, 핵과 평창, 상반된 키워드를 연설문 하나에 담았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사실은 약간 의외의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평창올림픽에 대해서 언급했던 그 부분이죠. 사실은 북한이 그동안에 취해 온 기조라고 하는 것은 통미봉남 아닙니까. 그러니까 미국하고는 어찌됐건 대화를 추진하고 남한은 따돌린다 이런 전략을 써왔는데 이번 같은 경우에 이걸 뒤바꾼 거죠.<br /><br />그러니까 미국에 대해서는 강경 발언을 내놓고 남한을 향해서 유화책을 내놓는 그런 상황인데 이게 아마 북미대화가 생각만큼 잘 안 풀리기 때문에 이럴 가능성이 높다고 저는 봅니다.<br /><br />워낙 교착상태에 있고 또 트럼프 대통령이 워낙 완고하고 어찌됐건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고 싶은데 이걸 받기 어려운 상황이 되니까 우회로를 택한 것일 수도 있다. 남북한 관계 개선을 하게 되면 일단 중국하고 러시아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훨씬 더 용이해지는 거죠.<br /><br />최근 특히 중국 같은 경우 대북 제재에 굉장히 앞장서고 있지 않습니까? 그런 상황 반전을 노린 그런 카드일 가능성이 높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.<br /><br /><br />2개의 키워드 중에 어느 쪽에 방점이 있을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일단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10222501201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