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세먼지가 심한 날 출퇴근 시간대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행하는 서울시의 조치가 벽에 부딪혔습니다.<br /><br />하루에 50억 원씩, 지금까지 3번 시행해 150억 원 정도 들어가 벌써 올해 예산의 60%를 써버렸는데요.<br /><br />설상가상 서울시의회가 앞으로 예산 증액 거부 의사까지 밝혀 계속 시행 자체가 불투명해졌습니다.<br /><br />홍주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울형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가 처음으로 시행된 건 월요일인 지난 15일입니다.<br /><br />다음 날 하루를 쉰 뒤 이틀 연속 발령됐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만 벌써 세 차례입니다.<br /><br />대중교통 요금을 보전해 주는 데 들어가는 돈은 하루에 50억 원.<br /><br />이미 150억 원이 빠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흘 모두 교통량 감소율은 2% 안팎에 그쳐서 극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서울시가 대중교통 무료 운행을 위해 확보한 올해 예산은 249억 2천만 원이라서, 올해가 한 달도 지나지 않았는데 이제 남은 돈은 100억 원 정도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정책 방향을 선회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대중교통 무료 정책이 시민에게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중앙정부와 다른 지자체에 해결책을 촉구하는 마중물로서 충분히 역할을 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박진형 /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: 대중교통 요금 무료화라는 지속 가능하지 못한 예산만을 계속해서 쓴다는 것이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 면에서 굉장히 시민의 동의를 얻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예결위는 대신,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입증된 친환경 보일러 보급 등에 예산을 집행하는 게 타당하다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서울시가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이어가기 위해 예산을 늘리려 해도, 시의회 심의를 통과하기 어려울 거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일부의 비판에도 정책 강행 의지를 밝힌 박원순 시장이 시의회의 '예산 제동'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홍주예[hongkiz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11822141185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