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문화 인구가 지난 2016년 기준으로 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농촌 지역에 시집온 결혼 이민여성들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인데요.<br /><br />이들이 고향의 문화를 전파하면서 농촌 생활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0년 전 베트남에서 시집 온 호안 띠뛰 씨가 능숙하게 한과를 튀겨냅니다.<br /><br />한국 남편과 초등학생 두 딸과 함께 사는 결혼 이민 여성인데,<br /><br />워낙 성실해 동네 어르신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습니다.<br /><br />[호안 띠뛰 / 결혼 이민 여성 : (노인들이) 힘들어하고 이런 일 못 해요. 제가 젊으니까 이렇게 (힘든) 일을 해줘야 해요.]<br /><br />마을회관에 모여 어르신들이 베트남 쌀국수를 먹는 모습도 낯익은 풍경이 됐습니다.<br /><br />[김효선 / 전북 정읍시 옹동면 : 이 음식을 어떻게 먹을까 했는데요. 먹어보니까 맛있어요. 음식이 참 맛있어요. 베트남 음식이 먹을 만해요.]<br /><br />농촌진흥청이 전국 46개 농촌 마을 주민 8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, 10명 가운데 6명이 다문화 인구가 늘면서 생활의 변화를 직접 느꼈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외국 음식을 먹고 외래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난 것이 가장 큰 변화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다문화 인구가 200만 명을 넘어서면서 농촌 고령화 속도를 늦추는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면 단위 천 명당 평균 출생 인구가 30여 명에서 47명까지 늘어나면서 농촌에서도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긍정적입니다.<br /><br />[양순미 / 농촌진흥청 연구사 : 고령화의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또 생산 인구가 증가하는 데 다문화 인구들이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농촌진흥청은 아열대 채소와 과일 재배 농가가 급증한 것도 다문화 인구 증가 현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백종규[jongkyu8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12503252506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