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역대 대북 특사 대부분 정보수장...공개적 방북 이번이 처음 / YTN

2018-03-03 0 Dailymotion

역대 정부는 남북관계가 꽉 막혔을 때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정보수장이나 측근을 대북 특사로 파견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대부분 특사라기보다는 밀사에 가까웠고 이번 문재인 정부의 특사는 공개적으로 방북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대북 특사의 시작은 박정희 정권 때인 1972년 5월 극비리에 방북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만약의 경우에 자결하기 위해 청산가리 캡슐을 가지고 방북한 이 부장은 김일성 주석과 면담한 뒤 7.4 남북 공동성명 발표를 성사시킵니다.<br /><br />[대한뉴스 / 1972년 7월 8일 : 4반세기동안 막혔던 남과 북 사이의 대화의 길이 트이기 시작했습니다.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7개항의 공동성명이 7월4일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발표됐습니다.]<br /><br />이후 대북 특사들은 대부분 정보수장이거나 대통령의 측근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전두환 정권 때는 박철언 안기부장 특보와 장세동 안기부장이 밀사로 나서 남북정상회담을 타진했으나 실패했습니다.<br /><br />노태우 정권 때는 서동권 안기부장이 방북했지만 역시 정상회담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김영삼 정부에서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평양 방문 이후 남북정상회담이 극적으로 합의됐지만 김일성 주석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물거품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김대중 정부는 2000년 3월 최측근인 박지원 당시 문화부장관을 특사로 보냈습니다.<br /><br />박장관은 싱가포르와 중국에서 네차례 남북 접촉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타진한 끝에 정상회담을 성사시켰습니다.<br /><br />그해 5월 임동원 국정원장이 평양을 찾아 역사적인 첫 남북정상회담을 사전 조율했습니다.<br /><br />[김대중 대통령 (2000년 6월15일) : 저는 바라고 있습니다 이번 방문으로 7천만 민족이 전쟁의 공포에서 해방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.]<br /><br />노무현 정부 때는 2005년 6월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이 6자회담을 거부하는 북한을 설득하라는 특명을 받고 방북했습니다.<br /><br />한 달 뒤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했고 그 해 9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로드맵인 9.19 공동성명이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 특사는 2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2007년 8월 방북한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입니다.<br /><br />다만 김만복 국정원장도 비밀 방북이었던만큼 문재인 정부의 대북특사가 공식 임명과 공개 방북을 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30316263336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