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靑 "'선(先) 핵폐기 후(後) 보상' 북한에 적용 불가" / YTN

2018-03-30 1 Dailymotion

청와대 핵심관계자가 '선(先) 핵 폐기 후(後) 보상'을 핵심으로 하는 '리비아식 해법'을 북한에 적용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검증과 핵 폐기는 순차적으로 풀어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오승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'선(先) 핵 폐기, 후(後)보상'을 핵심으로 하는 리비아식 해법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북한에 적용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든, 일괄타결이든, 리비아식 해법이든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방식을 상정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북한의 핵 문제가 25년째인데 TV 코드를 뽑으면 TV가 꺼지듯이 일괄타결 선언을 하면 비핵화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며 검증과 핵 폐기는 순차적으로 밟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다만 과거처럼 비핵화 과정을 여러 단계로 쪼개 단계별로 보상을 하는 방식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"미세하게 잘라서 조금씩 나갔던 것이 지난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두 정상 간 선언을 함으로써, 큰 뚜껑을 씌우고 그다음부터 실무적으로 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북한과 미국 정상 차원에서 비핵화 결단을 내리되 실천은 순차적ㆍ단계적으로 풀어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발언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중 정상회담에서 비핵화를 위해 단계적, 동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힌 것이 미국에서 제기된 '리비아식 해법'이나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한 번에 달성하자는 우리의 일괄타결식 해법과 충돌한다는 지적 속에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북한과 미국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는 청와대의 고심이 읽히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청와대가 미국의 구상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받아들이기 힘든 카드를 던질 확률을 낮추고, 양측간 이견을 좁히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FTA 개정 합의를 북한과의 협상 타결 후까지 연기할 수도 있다며 우리를 압박하고 나서 가뜩이나 골치 아픈 청와대에 복잡한 숙제를 안겨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오승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33019065074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