열흘 앞으로 다가온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의 의제는 크게 비핵화와 평화체제, 그리고 남북 관계 개선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비핵화 문제의 진전이 한반도 안보 구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2018년 남북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우리 정부는 비핵화와 평화체제, 남북 관계 개선 등 3가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두 정상 간에 허심탄회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너무 의제에 얽매이지 않도록 준비한다는 입장을 강조해왔습니다.<br />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양 정상 간 그야말로 허심탄회하고 포괄적인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제도 좀 융통성 있게 잡자 하는 의견이 모아져 있습니다."<br /><br />우리 정부가 유연한 접근을 강조하는 것은 남북 관계가 지난 10년 동안 대결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두 정상 간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남북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 회담의 예비 회담 성격이 있다는 점도 의제에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배경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비핵화 문제의 경우 남북 정상회담에서 진지하고 허심탄회한 논의를 진행하지만, 북미 정상회담에서 결론을 확인하는 수순을 추진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그 목표를 위해 우리는 남북정상회담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해나가야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남북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가시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같은 인도주의 사안이나 휴전선 주변 긴장 완화를 위한 군사 회담 정례화 등은 시급한 과제로 논의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지난 1991년 12월 남북 기본 합의서를 한 단계 격상한 남북 기본 협정을 체결하고, 국내적으로 초당적 대응을 위해 국회 비준도 받는 방안도 진지하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한편 남북 경제 협력 방안은 비핵화 문제와 연동된 만큼 구체적인 결론 도출을 고집하기보다는 서로의 의중을 자세하고 솔직하게 확인하는 수준에서 회담을 진행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41705502305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