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이버가 일명 '드루킹' 사건을 계기로 댓글 수를 제한하는 개편안을 내놨지만 '땜질 처방'으로 '미봉책'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많습니다.<br /><br />가짜 ID나 매크로를 통한 댓글 조작을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한영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네이버가 발표한 뉴스 댓글 개편안은 동일한 계정으로 기사에 달 수 있는 댓글 수와 공감·비공감 수를 줄이고, 연속 공감을 클릭하는데 시간 간격을 두겠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 같은 대책으로 뉴스 댓글과 공감을 통한 여론 조작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가짜 ID를 대량으로 만들어 댓글을 달아도 일반 사용자의 댓글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.<br /><br />또한 동일 작업을 반복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조금만 수정하면 여전히 댓글 조작이 가능한 것도 문제점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포털에서 검색한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로 연결해 주는 '아웃링크'를 도입하거나 뉴스 편집권을 내려놓는 조치를 하지 않는 한, 제2의 드루킹 사건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'아웃링크'는 구글 등이 적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로 연결되며 댓글과 순위 조작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광고주협회 등 광고 관련 단체들도 네이버의 댓글 대책은 "기대 이하로 실망스럽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"네이버를 비롯한 주요 포털이 언론사가 아닌 뉴스 유통사라고 주장하면서도 사실상 실시간 검색어와 댓글 장사를 하고 있다"며, "실시간 검색어·댓글 폐지와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"고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정치권도 대책 마련에 나선 만큼 국회에서 '인터넷뉴스유통사업자법'을 제정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한영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42608280475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